본문 바로가기
임신과 약물

사후 피임약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

by 닥터아놀드 2022. 11. 18.
728x90
SMALL

피임을 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사전 피임과 사후 피임이다.

사전 피임이 더 바람직한 방법이다.

그러나 사전 피임을 못했다면 원치 않는 임신을 예방하기 위해 사후 피임을 해야 한다.

 

사후 피임을 하는 방법은 약으로 하는 방법과 루프로 하는 방법이 있다.

약은 일회성이지만 루프를 하면 사후 피임이 되는 동시에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피임효과가 있다.

 

 

사후 피임약은 병원에서 처방전을 받아야 약국에서 구입할 수 있다.

사후 피임을 위해 사용되는 약은 레보노르게스트렐과 울리프리스탈이다.

 

사후 피임약

(1) 레보노르게스트렐 (Levonorgestrel)
    :  프로게스테론의 일종이다. 
    :  약제로는 노레보,포스티노, 레보니아, 쎄스콘원이 있다.

(2) 울리프리스탈 (Ulipristal)
     :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길항제이다.
     : 약제로는 엘라원이 있다.

 

 

레보노르게스트렐 (Levonorgestrel) 의 경우 부부관계 후 72 시간이내 복용을 해야 한다.

울리프리스탈 (Ulipristal) 의 경우 부부관계 후 120 시간 이내 복용을 해야 한다.

그렇지만 부부관계 후 가능한 일찍 복용할수록 효과가 좋다.

가급적 관계 후 24 시간 이내에 복용할 것을 권장한다.

72 시간 이내라면 어느 약을 복용하든지 상관없지만

72 시간이 지나고 120 시간 전이라면 울리프리스탈을 복용해한다.

 

사후 피임약은 관계후 가능한 일찍 복용하자

 

사후 피임약은 의사라면 처방을 할 수 있지만

가급적 산부인과 의사에게 처방을 받는 것이 좋다.

산부인과 의사는 사후 피임약 부작용, 복용방법, 주의사항 등을 잘고 있다.

산부인과에서는 임신 등에 대한 상담도 가능하다.

산부인과 방문 시에는 클리닉 형태의 동네 산부인과를 방문하면 된다.

종합병원/대학병원에서는 사후 피임약을 처방하지 않는 경우도 많고,

사후 피임약 처방을 위해서 큰 병원을 찾을 필요는 없다.

 

사후 피임약은 산부인과 의사에게 처방받는 것이 좋다

 

 

출처 : 핼스조선

 

 

사후 피임약 복용 시 부작용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구토, 오심, 어지러움, 질출혈, 유방통 등이 있을 수 있다.

부작용이 있다고 해도 시간이 지나면 대부분 좋아진다.

부작용이 걱정돼서 약 처방을 망설이는 경우도 있지만 

심한 부작용이 있는 경우는 별로 없다.

약 복용 후 3 시간 이내 구토를 한다면 재복용을 해야 한다.

 

사후 피임약은 구심, 구토 등의 부작용이 있다.

 

사후 피임약은 효과가 100 % 가 아니다.

사전 피임약은 제대로 복용했을 때 피임효과가 99 % 이지만

사후 피임약은 관계 직후 복용한 경우라고 해도 90 % 정도이다.

관계 후 3 일째 복용했다면 효과가 70 % 이하로 떨어질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생리 예정일이 되었는데도 생리를 하지 않는다면 임테기 검사를 해봐야 한다.

생리 예정일에서 일주일 정도는 기다려 볼 수도 있겠다.

사후 피임약이 생리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사후 피임약 복용후 생리가 지연된다면 임신을 의심해봐야 한다.

 

사후 피임약은 생리주기 (보통 약 28 일)에 한 번만 복용하는 것이 원칙이다.

사후 피임약을 복용하고 월경 (생리)가 오지 않았는데 다시 관계를 하는 경우

콘돔이나 자궁내장치 등 피임에 대한 대비를 해야 한다.

그런데 대비를 못하고 관계를 했을 때 사후 피임약을 다시 복용하는 것을 어떨까.

이런 경우 처방을 해주지 않는 산부인과 의사도 있을 것이다.

의사의 처방전 없이 약국에서 약을 구입할 수 없다.

의사의 처방전 없이 약국에서 약을 주는 경우도 본 적은 불법이다.

의사에 이번 주기에 처음 먹는 것이라고 거짓말을 해서 처방을 받을 수는 있겠다.

일부 의사는 처방을 해주기도 한다.

한 주기에 두 번 사후 피임약을 복용할 수 있는데 효과는 떨어지고 부작용은 증가한다.

 

사후 피임약은 한 주기에 한번만 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후 피임 효과는 잘해야 90 % 정도이므로 피임에 실패할 가능성이 10 % 이상이다.

만약 사후 피임약을 복용했는데 임신이 되면 어떻게 하나.

아기한테 문제가 생기는 것은 아닌가 걱정이 되겠지만 그렇지 않다.

사후 피임약을 복용하고 임신이 된 경우에 아기를 지워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아이를 원하지 않아 또는 임신을 할 상황이 아니어서 사후 피임약을 복용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임신 중절을 하는 여성이 꽤 된다.

 

사후 피임약을 복용하고 임신이 된 경우 아기는 괜찮다

 

 

[글 : 닥터 아놀드]

728x90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