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신과 약물

임신중 사용 가능한 약물

by 닥터아놀드 2022. 11. 17.
728x90
SMALL

약은 임신 중 태아손상 (태아기형) 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많은 임신부들이 임신 중 약을 꺼리는 이유이다.

그러나 임신중 다양한 이유로 약을 복용한다.

대표적으로 입덧, 소화 불량이 있겠다.

고혈압, 당뇨 등의 만성질환이 있을 수도 있다.

실보다 득이 많으면 약을 복용할 수 있다.

약으로 인한 태아 손상 가능성은 생각보다 높지 않다.

태아 손상 (태아 기형) 이 생겼을 때 원인이 약물인 경우는 4 ~ 5 % 불과하다.

 

 

 

임신 중 어떤 약을 복용하고 어떤 약을 복용하면 안 될까.

임신 중 약물 안정성을 명확하게 말하기 어려운 이유는

인체를 대상으로 직접 실험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미국 FDA  임신중 복용한 약물의 위험도 따라  5 가지 범주로 나누어 경고하고 있다.

 

A 은 임신중 복용이 안전한 약이다.

여기에 해당하는 약은 전체 약의 1 % 도 되지 않는다.

대표적으로 다음의 약들이 있다.

(1) 신지로이드 : 갑상선 기능 저하증 때 복용
(2) 디클렉틴 : 임신 초기 입덧 완화를 위해 복용
(3) 비타민 : 안전하지만 과량 복용 시에는 태아 기형을 유발할 수도 있다.

B 는  동물 실험에서는 괜찮았지만 인체를 대상으로 한 확실한 연구는 없는 약이다.

C 는 동물 실험에서 부작용이 있었지만 인체를 대상으로 한 확실한 연구는 없는 약이다.

D 는 태아 위험성이 있는 약이다.

X 는 동물과 인체에서 기형이 증명된 약이다.

 

 

 

 

 

일반적으로 임신중 사용 가능한 약은 A, B, C이다.

A 에 해당하는 약은 거의 없고

C 는 약간 찜찜하니 B 복용하는 것이 좋겠지만 C 도 복용 가능하다.

D, E 는 먹지 않는 것이 원칙이나 먹을 때에 실보다 득이 많으면 복용할 수도 있다.

항경련제는 D 인 경우가 많은데 간질 환자라면 약을 복용해야 한다.

항암제는 X 인 경우가 많은 암 환자라면 약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런데 이러한 분류가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FDA 에는 미국에서 분류한 것인데

ADEC 라고 하여 호주에서 분류한 기준이 있다.

ADEC (Australian Drug Evaluation Committee) : 호주 의약품 위험성 평가분류기준은 다음과 같다.

 

 

 

FDA 와 ADEC 의 등급을 비교했을 때 불일치하는 경우가 75 % 나 된다.

어느 것을 기준으로 해야 할까.

객관적이 데이터가 많이 없기 때문에 이런 일이 발생한다고 한다.

 

산부인과 의사라도 모든 약의 위험성을 알고 있지는 않다.

특정 약의 위험도를 약전에서 찾아보면 분류 자체가 없는 약도 많다.

반면, 잘못된 본류도 있다.

경구 피임약은 FDA  분류에 의하면 X  등급으로 되어 있는데

태아 기형을 유발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

경구 피임약 복용 중 임신이 된다면 (그럴 가능성은 적겠지만),

태아 기형을 걱정하여 소파 수술을 할 필요는 없다.

 

약 자체도 중요하지만 약을 복용한 시기가 더 중요할 수 있다.

임신 4 주까지는 약 복용을 해도 안전하다.

이 시기에 문제가 되는 약물을 복용 시에는 아기는 유산이 된다.

만약 유산아 되지 않았다면 기형은 생기지 않는다.

생리가 규칙적인 여성에서 임신 가능성이 있다면 

임테기 검사 등을 통해 임신 여부를 확인하여

임신인 줄 모르고 약을 복용하는 일을 줄일 수 있다.

임신 4 주에서 10 주까지가 가장 위험한 시기이다.

이 시기는 주요 장기들이 형성되는 시기이므로 약물 복용 시 심한 기형일 생길 수 있다. 

임신 10 주 이후에는 이미 생성된 장기가 성장하는 시기이므로 심한 기형은 생기지 않는다.

  

임신 중 태아 기형을 유발하는 약물은 다음과 같다.

 

고혈압약, 항암제, 항경련제, 항응고제  등이 포함되어 있다.

갑상선 기능 항진증에 사용하는 메티마졸 등도 포함되어 있다.

임신부는 대부분은 젊은 여성이므로 만성질환을 있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적다.

가임기 여성이고 임신을 계획 중이라면

평소 복용하는 약이 있다면 임신 중에도 지속적으로 복용할 수 있는지는 확인해 두어야 한다.

특히 여드름 치료제 (Etretinate, Isotretinoin, Tretinoin)와 제산제 중에 미소프로스톨 제제 (싸이토텍정, 알소벤정 등)은 절대 복용하면 안 된다.

임신 중에 여드름이 생기면 어떻게 할까.

임신 중에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약이 있으므로 의사와 상당후 치료를 할 수 있다.

 

 

[글 : 닥터 아놀드]

728x90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