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SMALL 자궁외임신5 임신 초기 초음파 사진 보는 방법 임테기 검사에서 양성이 나오면 임신을 확인하기 위해 산부인과에 방문한다. 산부인과에 가면 초음파 사진을 준다. 초음파 사진을 보면 너무 기분이 좋다. 집에 와서 수첩이나 아기를 위한 앨범에 끼어 넣는다. 임테기 검사를 하는 시점은 보통 생리가 예정일보다 늦어지는 경우이다. 생리 예정일에서 3,4 일 생리가 지연되면 산부인과에 간다. 생리 주기는 21 일 ~ 35 일사이로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주기에 관계없이 생리 예정일이 임신 4 주이다. 생리 예정일에서 3 ~ 4 일 지나서 병원에 가면 임신 4.5 주가 된다. 생리 주기에 상관 없이 생리 예정일이 임신 4 주이다. 단, 생리가 규칙적이여야 한다. 불규칙한 경우에는 생리주기로 정확한 임신 주수를 알기 어렵다. 임신 4.5 주정도의 초음파 사진이다... 2022. 11. 20. 여성 불임 수술에 대해 알아보자 임신이 안돼서 불임클리닉을 다니는 여성이 있는 반면 임신이 너무 잘 돼서 고민인 사람도 있다. 피임을 99 % 정도에서 원하지 않는 임신을 예방할 수가 있는데 피임약을 먹기는 귀찮다. 매일 일정 시간에 약을 먹는다는데 어떤 사람한테는 쉽지 않은 일이다. 자궁내 장치를 넣는 방법이 있다. 자궁내 장치는 5 년마다 한 번씩 교환해 준다. 경구 피임약과 자궁내 장치가 피임의 양대 산맥이라고 할 수 있는데 피임 효과가 좋다. 피임을 하다가 본인이 임신을 하고자 하면 언제라도 가능하다. 피임약 복용을 중단하거나 자궁내 장치를 제거하면 임신을 할 수 있다. 임신 계획이 없다면 불임 수술을 하는 것도 방법이다. 영구 피임이 될 수 있다. 산아제한을 장려하던 70 ~ 80 년대에 보건소에서 많이 했다. 1977 년 정.. 2022. 7. 12. 자궁외 임신의 증상에 대해 알아보자. 임신을 기대하는 여성들은 생리 예정일 날 생리가 없으면 아니 그 전부터 임테니 검사를 한다. 음성이 나오면 반복적으로 임테기 검사를 한다. 임신 반응이 나오면 환호작약한다. 그런데 임신 반응이 나왔어도 안심할 수는 없다. 화학적 유산, 계류 유산, 고사 난자, 자궁외 임신 등 잘못된 임신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자궁외 임신의 증상에 대해 알아보자. 자궁외 임신의 3 대 증상은 무월경, 질출혈, 복통이다. 자궁외 임신은 자궁이 아닌 곳에 임신이 되는 것인데 난관, 난소, 자궁각, 자궁경부, 복강 등에 임신이 된다. 이 중 자궁각과 자궁경부 임신은 엄밀히 말해 자궁외 임신은 아니다. 자궁 안에 임신이 된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자궁 안이라고 해도 위치가 잘못되었다. 해서 자궁외 임신으로 분류.. 2022. 7. 5. 자궁근종이 임신에 미치는 영향 자궁근종은 매우 흔한 질환이다. 작은 크기의 자궁근종까지 포함하면 여성 2~3 명중 한 명정도는 자궁근종이 있다고 볼 수 있다. 1 cm 이하 자궁근종은 대부분 별 문제가 없어 어떤 의사는 초음파에서 보여도 없다고 하기도 한다. 괜히 있는 거 알아봐야 정신건강에 안 좋을 수도 있다. 모든 자궁자궁근종이 그렇다는 것은 아니다. 크기보다는 위치 (깊이) 가 더 중요하다. 1 cm 이하라도 자궁내막안에 자궁근종이 위치한 경우에는 문제가 된다. 생리양이 많아지고 불임의 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자궁경을 통해 자궁근종을 절제해 주어야 한다. 간단한 수술이지만 효과는 좋다. 수술이 싫어서 억지로 약으로 해볼려고 하는 여성들이 있는데 약으로는 효과는 보기기 어렵다. 자궁근종이 임신에 미치는 영향 그 첫번째는 불임 또는.. 2022. 4. 26. 임신중 병원 진찰이 필요할 때 임신을 확인하면 산전 진찰을 받는데 보통 한달에 한번정도이다. 7 개월까지는 한달에 한번 9 개월까지는 한달에 두번 막달에는 매주 방문을 한다. 이상은 정기 검진이다. 정기 검진외에 병원진찰이 필요할 때는 언제일까 ? 증상 위주로 살펴봅니다. (1) 질출혈 피가 조금 미치거나 피가 섞인 냉 등 출혈이 있는 경우 방문한다. 임신 초기에는 절박 유산, 계류유산, 자궁외 임신 등의 가능성이 있다. 임신 중기에는 전치태반, 태반 조기박리 등의 가능성이 있다. (2) 배뇨통 소변을 자주 보거나 배뇨시 통증이 있는 경우 소변이 잘 나오지 않거나 너무 적게 나오는 경우 등이다. 여성은 남성에 비해 방광염에 잘 걸린다. 임신중 방광염에 걸리면 치료를 해야 한다. 방치시 신우신염 등이 생길 수 있다. (3) 복통 임신이.. 2021. 4. 15. 이전 1 다음 728x90 728x90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