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SMALL 임신과 질병25 임신중 치질 예방에 대해 알아보자 치질은 항문 주변에 생기는 질환을 말하는데 다음의 3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1) 치핵 : 항문 주변의 혈관과 결합조직이 돌출되거나 출혈 (2) 치열 : 항문이 파열되어 아프고 출혈 (3) 치루 : 염증으로 항문에서 고름, 분비물이 나옴 그런데 이 중 (1) 치핵을 치질이라고 흔히 말한다. 치핵 = 치질 치질은 인간이 직립보행을 해서 생긴다. 즉, 동물에게는 잘 생기지 않는다. 중력의 영향으로 피가 아래로 몰려서 항문 주변 조직과 혈관이 늘어나기 쉽다. 늘어진 항문 조직이 항문 밖으로 빠져나오는 것이 치질이다. 발생 부위가 항문 안쪽이면 내치핵 (암 치질)이라고 하고 항문 밖이면 외치액 (수치질)이라고 한다. 어떤 경우 치질이 잘 생길까 ? 오래 앉아있거나 오래 서 있는 것은 좋지 않다. 나이가 .. 2022. 9. 30. 임신중 가려움증을 동반한 피부 질환 임신 중에는 면역 기능이 전반적으로 약해진다. 평상시에는 별 문제가 없었는데 임신 중 피부질환을 경험하는 일은 흔하다. 임신 중 가려움을 동반한 질환을 알아본다. (1) 임신성 소양증 (Pruritus gravidarum) 임신 후기에 시작한다. 가려움 임심성 간내 담즙 정체로 볼 수 있다. 전신이 심하게 가렵다. 표피박리가 흔하다. 항히스타민제나 콜레스티라민으로 치료한다. 주산기 이환율이 증가한다. 다음 임신이 재발할 수 있다. (2) 임신 소양성 두드러기성 구진과 반점 : PUPPP (Pruritic urticarial paplues and plague of pregnancy) 임신 중 가려움을 동반하는 가장 흔한 피부병이다. 주로 임신 후반기에 발생한다. 배꼽 주변에서 처음 발생하여 대퇴부와 사지로.. 2022. 9. 27. 임신중 우울증과 산후 우울증을 알아보자 임신 중 우울증과 산후 우울증을 합해 주산기 우울증이라고 한다. 산후 우울증은 출산 후 4 ~ 6 주 이내에 발생하는 주요 우울장애이다. 약 10 ~ 20 % 에서 발생한다. 산후 우울증이 관리되지 않으면 자살이나 영아 살해 후 자살과 같은 극단적인 결과에 이르기도 한다. 산후 우울증은 잘 알려져 있는 반면 임신 중 우울증은 그렇지 않다. 임신 중 우울증이 있으면 음식을 충분히 섭취하지 못한다. 신생아 저체중, 태아 발육 지연 등 태아에게도 영향을 미친다. 임신중 우울증이 있으면 산후 우울증이 생길 가능성이 높아진다. 다음 임신 때 또 우울증이 생길 확률도 높다. 산후 우울증은 산후 우울한 기분과는 다르다. 산후 우울증 기분은 병적 상황이라고 볼 수는 없다. 산모의 약 50 % 에서 많게는 75 % 까지.. 2022. 8. 26. 자궁내막증 증상에 대해 알아보자 자궁내막증의 대표적인 증상 중 하나가 난임/불임이다. 자궁내막증이 있어도 임신이 될 수 있지만 없는 사람에 비해서는 임신이 잘 안 되는 경향이 있다. 난임/불임은 임신을 원하지 않는 여성이거나 이미 출산을 마친 여성에서는 관심의 영역이 아닐 수도 있다. 자궁내막증 다른 대표적인 증상인 생리통이다. 생리통은 임신과 관련없이 모든 여성들이 겪는 증상이라고 볼 수 있다. 자궁내막증인데도 생리통 없거나 생리통 없이 다른 증상이 있을 수 있을까. 가능은 하겠지만 드물다. 생리통은 자궁내막증의 가장 특징적인 증상이라고 할 것이다. 생리통과 불임이 자궁내막증의 대표적인 증상이다. 자궁내막증을 치료함에 있어 임신을 염두에 두고 있는지가 매우 중요하다. 임신을 시도해야 하는 여성과 그렇지 않는 여성의 치료가 다르기 때문.. 2022. 8. 24. 자궁근종과 자궁선근증은 어떻게 다른가 자궁근종과 자궁선근증은 다른 질환이다. 그런데 이름이 비슷하고, 증상이 비슷하고, 치료가 비슷하다 보니 같이 묶어서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다. 또 자궁근종과 자궁선근증이 동시에 있는 경우도 많다. 자궁은 대부분이 근육조직으로 이루어져 있다. 자궁 안에 공간이 있는데 이를 자궁내강이라고 한다. 자궁내강 안을 둘러싸고 있는 조직이 자궁내막이다. 자궁내막은 여성호르몬의 영향을 받아 생리 직전에 가장 두껍다. 생리와 함께 배출이 되고 나면 얇아진다. 따라사 자궁내막은 생리 직후에 가장 얇다. 자궁근육에 생기는 양성종양을 자궁근종이라고 한다. 근종이란 근육에 생기는 혹을 말한다. 자궁근종이란 자궁근육에 생기는 혹이다. 우리 몸에는 근육이 많다. 팔, 다리, 등 근육 등등. 얼굴에도 근육이 있다. 심장도 근육조직이다.. 2022. 8. 17. 임신중 태반조기박리에 대해 알아봅니다. 태반조기박리는 출산전 태반이 자궁에서 떨어지는 것이다. 아기는 태반을 통해 음식물을 섭취하고 호흡을 하는데 태반이 자궁에서 떨어지면 살 수가 없다. 위험한 상황이다. 태반이 완전히 떨어지기 전에 빨리 수술을 해서 아기를 끄집어내야 한다. 즉, 빠른 진단이 중요하다. 태반조기박리시 어떤 증상이 있을까. 질출혈이 있다. 임신 중 질출혈이 있으면 빨리 산부인과에 가봐야 한다. 질출혈이 있으면서 복통을 같이 동반하는 것이 태반조기박리의 특징적 증상이다. 복통은 태반이 있는 위치에 있다. 산모마다 태반 위치는 다르다. 앞쪽, 뒤쪽, 옆쪽 등 복통의 위치도 제각각일 수밖에 없다. 초음파로 태반 위치를 확인하고 복통이 있는 곳과 일치하는지 본다. 태반이 떨어지면 그 자리에 피가 고인다. 초음파를 통해 태반 뒤의 혈종.. 2022. 8. 5. 임신중 전치태반에 대해 알아봅니다. 태아는 탯줄을 통해 태반과 연결되어 있다. 태반은 자궁의 내벽에 붙어 있다. 앞쪽, 뒤쪽, 오른쪽, 왼쪽, 위쪽 - 위치는 다양한다. 태반이 어디에 붙어 있던 상관은 없지만 단, 아기가 나오는 산도를 막고 있으면 안 된다. 조선시대 같으면 애 낳다가 죽을 수도 있었다. 태반이 산도를 막고 있으면 정상적으로 아기가 나올 수가 없다. 제왕절개를 해야 한다. 전치태반은 임신 초기에는 진단할 수 없다. 임신 20 주 이후에 진단이 된다. 임신 20 주 이후 복통이 없는 질출혈이 있다면 전치태반을 의심한다. 증상은 보통 30 주 이후에 있다. 임신 내내 증상이 없는 경우도 많다. 약 50 % 의 산모에서만 증상 (복통 없는 질출혈)을 경험한다. 진단은 초음파를 통해서 한다. 산모는 병원에 올 때마다 초음파를 보기.. 2022. 8. 4. 임신중 생기는 기능성 낭종에 대해 알아봅니다. 기능성 난소낭종은 시간이 지나면 없어질 수 있는 낭종이다. 기능성 난소낭종에는 다음의 세 가지가 있다. (1) 난포성 낭종 (2) 황체성 낭종 (3) 난포막 황체 낭종 월경주기는 배란을 기준으로 전반기와 후반기로 나눌 수 있다. 전반기를 난포기, 후반기를 황체기라고 한다. 난포기에 생기는 기능성 낭종을 난포성 낭종이라고 하며, 황체기에 생기는 기능성 낭종을 황체성 낭종이라고 한다. 이 중에 임신중에 생기는 기능성 낭종으로 난포막 황체 낭종이 있다. 난포막 황체낭종은 난포성 낭종, 황체성 낭종에 비해 빈도가 적다. 난포막 황체 낭종에 대해 알아보자. 임신이 되면 인간 융모성 생신선 자극 호르몬이 분비된다. 난포막 황체 낭종 (Theca lutein cyst) 는 임신이 되면 나오는 호르몬인 인간 융모성 생.. 2022. 8. 3. 임신성 당뇨 선별검사 방법과 진단 기준, 관리방법 임신성 당뇨검사는 모든 임산부들이 검사해야 하는 필수 검사이다. 임신 중 2번 검사를 한다. 임신 초기와 임신 중기 (24 주 ~ 28주)에 한다. 보통 임신성 당뇨 선별검사라 함은 임신 24 ~ 28 주에 하는 검사를 말한다. 고위험 산모군에서는 추가로 더 할 수도 있다. (1) 임신 초기 선별 검사 임신하고 산부인과 첫 방문 시 진행한다. 공복 시 혈당, 무작위 혈당 또는 당화혈색소를 측정한다. 이 시기의 당뇨 검사를 임신성 당뇨를 보기 위함이 아니다. 임신 전 당뇨병이 있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한다. 임신 전까지 당뇨병 검사를 한 번도 하지 않아 당뇨가 있어도 모르는 산모들이 있다.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다. 공복시 혈장 혈당 : 126 mg/dL 이상 임의 혈장 혈당 : 200 mg/dL 이상 .. 2022. 7. 26. 자궁외 임신의 증상에 대해 알아보자. 임신을 기대하는 여성들은 생리 예정일 날 생리가 없으면 아니 그 전부터 임테니 검사를 한다. 음성이 나오면 반복적으로 임테기 검사를 한다. 임신 반응이 나오면 환호작약한다. 그런데 임신 반응이 나왔어도 안심할 수는 없다. 화학적 유산, 계류 유산, 고사 난자, 자궁외 임신 등 잘못된 임신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자궁외 임신의 증상에 대해 알아보자. 자궁외 임신의 3 대 증상은 무월경, 질출혈, 복통이다. 자궁외 임신은 자궁이 아닌 곳에 임신이 되는 것인데 난관, 난소, 자궁각, 자궁경부, 복강 등에 임신이 된다. 이 중 자궁각과 자궁경부 임신은 엄밀히 말해 자궁외 임신은 아니다. 자궁 안에 임신이 된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자궁 안이라고 해도 위치가 잘못되었다. 해서 자궁외 임신으로 분류.. 2022. 7. 5. 자궁근종 증상에 대해 알아보자 자궁근종은 매우 흔한 질환이다. 가임기 여성 기준으로 3 명중 1 명에서 자궁근종이 있다. 자궁근종은 임신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미혼 또는 임신을 계획하고 있는 여성들에게는 고민이 될 수밖에 없다. 자궁근종은 여성 호르몬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폐경전까지는 나이가 들면서 빈도가 증가한다. 최근 결혼하는연령이 늦어짐에 따라 임신을 계획하고 있는 시점에서 자궁근종을 가지고 있는 여성들이 증가하고 있다. 자궁근종이 있으면 어떤 증상이 있을까. 자궁근종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흔한 증상 4 가지와 상대적으로 덜 흔한 증상 4 가지를 설명한다. 자궁근종이 생겼을 때 흔한 증상 (1) 무증상 대부분은 여기에 해당한다. 작은 크기의 자궁근종이 한 개 또는 여러 개 있어도 전혀 증상.. 2022. 7. 1. 자궁근종은 얼마나 많을까 자궁근종으로 자궁적출술을 한 여성은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중년 여성 동창회 모임을 가면 그중 몇 명은 자궁근종으로 수술을 했다. 자궁근종이 있는데 수술하지 않고 그냥 지내는 사람은 더 많을 것이다. 자궁근종은 얼마나 많을까. 학생때 봤던 원서 교과서에는 4 명중 한 명이라고 되어 있었다. 즉 약 25 % 정도이다. 흔한 질병인지 드문 질병인지 나누는 기준은 제각이지만 필자는 1 % 를 기준으로 본다. 즉 1 % 보다 많으면 흔한 질병이고, 1 % 보다 적으면 드문 질병이다. 이러한 관점을 사회전반적으로 적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자산이 상위 1% 안에 들면 부자이다. 사회 각 분야에서 상위 1 % 안에 들면 성공한 사람이다. 큰 부자 또는 크게 성공한 사람의 기준으로는 0.1 % 의 기준을 적용.. 2022. 6. 26. 이전 1 2 3 다음 728x90 728x90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