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신과 출산

임신이 되는 과정에 대해 알아보자

by 닥터아놀드 2022. 9. 8.
728x90
SMALL

임신은 정자와 난자가 만나서 (수정) 이루어진다.

1987 년 William August Oscar  가 기술한 내용이다.

지금은 누구나 상식이라고 할 수 있겠다.

난자는 난포에서 나오며 (배란) 정자는 질과 자궁입구를 통해 자궁 안으로 들어간다.

난자와 정자는 난관의 팽대부에서 만나 수정을 한다.

수정이 되면 수정란이라고 한다.

수정란은 다시 자궁안으로 들어가 착상을 한다.

수정부터 착상까지 약 일주일이 걸린다.

착상하고 약 일주일 후 태반이 형성된다.

이상의 내용을 자세하게 알아보자

 

(1) 난자의 성숙

 

난소에서 난포는 원시난포의 형태로 존재한다.

원시 난포란 제 1차 감수분열의 전기에 정지된 상태를 말한다.

전구 과립막세포에 둘러싸여 있다.

원시 난포의 성장은 성산자극호르몬의 자극과는 관계없이 조절된다.

전구 과립막세포가 과립막 세포 (granulosa cell)로 성숙되면서 일차 난포가 만들어진다.

일차 난소의 과립막 세포가 분화되면서 여러층으로 증식된다.

전방 난포 (Preantral follicel)로 발달된다.

이 시기 부터 난포는 성산 자극 호르몬의 영향을 받는다.

난포자극 호르몬 (FSH)에 의해 3 ~ 7 개의 난포가 성장을 시작하다가

월경 주기 5 ~ 6 일경에  한 개의 난포가 선택을 받는다.

선택받은 난포는 에스트로겐 농도를 높게 유지하여 다른 난포들보다 빠르게 성장한다.

에스트로겐 농도는 배란 2~3일 전에 최고로 높아져,

황체형성 호르몬 (LH) 을 급등하게 하고 (surge)와 프로게스테론 생성이 시작된다.

황체형성 호르몬이 급등하면  

제 1 차 감수분열의 전기상태에 정지되어 있던 난자는 감수분열을 다시 시작하여

제 2 차 감수분열 중기까지 진행한다.

황체호르몬의 최고치에 도달하고 약 12 시간 후에 배란이 일어난다.

 

 

 

(2) 정자의 성숙

 

정자 형성이 시작되고 3 일이 지나면 정자들이 부고환의 미부에 도달한다.

정자 머리에는 막으로 둘러싸인 핵이 존재한다.

단백분해효소가 들어 있는 선단체 (acrosome)가 핵을 둘러싸고 있다.

사정 시 2 ~ 3 억 개의 정자가 방출되는데

난자 가까히 가는 정자는 수백 개에 불과하다.

정자는 자궁입구의 점액을 뚫고 자궁안으로 들어가는데

점액 내 정자항체가 있으면 불임이 될 수 있다.

 

자궁입구를 뚫고 들어간 정자는 난자에 도달한다.

정자의 세포질막의  안정성이 감소하면서

선단체에서 단백질분해효소의 일종인 아크로신 등이 방출된다.

이를 이용해 정자는 난자를 뚫고 들어가 투명대에 붙고

정자의 운동속도가 증가하면서 투명대를 통과한다.

 

 

 

 

(3) 수정

 

배란된 난자는 12 ~ 24 간동안 수정이 가능하다.

배출된 정자는 48 ~ 72 시간 동안 수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배란 직전 2 ~ 3 일간의 성관계가 임신에 중요하다.

정자가 난자안으로 들어오면 난자 안의 칼슘 농도가 증가한다.

이로 인해 난자의 피질부분에 있던  피립 과립이 세포외로 유출된다.

피립 과립은 투명대의 변형을 일으키서 더 이상 다른 정자가 난자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한다.

제 2 차 감수분열 중기에 머물러 있던 난자는 감수분열을 완성한다.

수정된 후 몇 시간이 지나면 전핵이 형성되고 DNA  합성이 일어난다.

이후 전핵 막이 없어지고 합체 (syngamy)가 된다.

 

(4) 착상

 

정자와 난자가 만나 수정이 되면 46 개의 염색체를 가진 이배수체 접합체가 된다.

난관에서 3 일동안 세포분열을 한다가 상실배상태에서 자궁 안으로 들어온다.

자궁 안으로 들어온 배아는 5 ~ 7 일째 착상을 한다.

생리가 28 일인 여성을 기준으로 생리 14 일째 배란이 되고 약 21일째 착상이 된다.

착상을 위해서는 자궁내막이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자궁내막이 준비가 되어 있는 시기는 생리 20 ~ 24 일째이다.

만약 배아가 자궁내막에 늦게 도달하면 착상에 실패한다.

배아가 착상을 하는 과정은 접근, 결합, 침입의 과정을 거치는데

자궁내막에 늦게 도달 시  배아와 자궁내막 결합을 방해하는 당단백질이 합성된다.

 

 

 

[글 : 닥터 아놀드]

728x90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