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신과 음식

임신중 카페인 일일 최대 섭취 권고량

by 닥터아놀드 2022. 9. 22.
728x90
SMALL

임신 중 카페인이 포함되어 있는 음식을 절대 먹으면 안 될까.

알게 모르게 우리가 먹는 식음료에는 카페인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제품 1 ml당 0.15 mg  이상의 카페인이 함유되어 있으면 식품에 "고 카페인" 표시를 한다.
그러므로 임산부라면 고카페인 함유 표시를 꼭 확인하자

 

카페인 하면 떠오르는 것이 커피이다.

커피도 종류가 있다. 

원두커피 한잔 (200  ml)  에는 약 150  mg의 카페인이 들어 있다.

인스턴트커피 한잔 (200  ml)  에는 약 70  mg 이 들어 있다.

에스프레소 싱글, 카푸치노 싱글에는 100  mg 이 들어 있다.

 

 

 

일반적으로 커피 한잔에는 100  mg의 카페인이 들어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커피 종류에 따라 다르다.
원두커피는 카페인 함량이 더 높다.

 

커피뿐 아니라 녹차, 홍자, 콜라, 진통제 카페인이 들어 있다.

콜라나 청량음료, 아이스티에도 카페인이 들어 있다.

약 50  mg  정도 들어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많아도 100  mg  은 잘 넘지 않는다.

코코아, 초콜릿에도 카페인이 들어 있는데  10  mg 정도로 상대적으로 소량이다.

 

 

 

임신 중에 카페인은 하루 300  mg 이하로 섭취한다.

 

임신중에 커피를 절대 마시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커피는 기호식품이라 커피 없이는 하루를 지내기 힘든 여성도 있다.

커피 한잔 약 100  mg  인 점을 감안하면 하루 두 잔 이하가 적당하다.

커피 말고도 다른 식음표에서 카페인을 섭취할 수 있으므로 여유공간을 남겨둔다.

원두커피를 즐긴다면 한 잔정도가 좋겠다.

 

임신부가 아니라도 카페인을 과량 섭취하는 것은 좋지 않다.

비 임신부에서 식품의약 안정처가 권고하는 카페인 일일 최대 섭취 권고량은 하루 400  mg으로

임신일 때와 100  mg 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

임신 중에는 카페인을 분해하는데 드는 시간이 비임신 때보다 3 배가 더 걸린다.

 

카페인은 인체 내에서 어떤 영향을 미칠까.

중추신경계를 자극하는 각성제로 작용하고,

위산분비를 촉진시켜 위궤양이 생길 위험이 높아진다.

칼슘, 철분 흡수가 잘 되지 않아 골질환, 빈혈이 되기 쉽다.

이뇨 작용으로 수분 손실이 원인이 된다.

 

 

 

 

카페인의 인체 내 영향
(1) 각성제 :중추 신경계 자극 
(2) 위궤양 : 위산분비 촉진
(3) 골질환 : 칼슘 흡수 방해
(4) 빈혈 : 철분 흡수 방해
(5) 수분 손실 : 이뇨제로 작용

 

임산부가 카페인을 과량 섭취 시

저체중아, 조산, 유산, 태아 사망 등의 위험성이 높아진다.

모유수유 중 카페인을 과량 섭취 시

모유를 통해 카페인이 아기에게 전달될 수 있다.

카페인을 먹은 아기는 숙면을 하기 어려워진다.

 

 

[글 : 닥터 아놀드]

728x90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