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신과 출산

임신주수와 분만예정일 계산하기

by 닥터아놀드 2022. 6. 27.
728x90
SMALL

임신이 되어서 초음파로 태아 심장소리를 들었다면

그 다음으로 궁금한 것이 임신 몇 주인지 아기가 언제 나오는지 (분만 예정일) 이다.

 

산부인과에 가서 물어보면 알려주기는 하지만 본인이 한번 계산해 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임신 주수는 마지막 생리를 기준으로 한다.

마지막 생리를 기준으로 40 주가 평균적인 임신 기간이다.

여기에는 전제조건이 있는데 28 일간격으로 생리가 규칙적인 여성일 기준으로 한다는 점이다.

생리가 28 일 정확하게 떨어지는 여성이 생각보다는 많지 않으므로

대부분의 여성에 있어 다소 오차가 날 수 밖에 없다.

생리가 많이 불규칙하여 2 ~ 3 달에 한 번씩 하는 여성이라면 계산이 어렵다.

 

 

 

마지막 생리를 기준으로 임신주수를 산정한다.

 

계산을 하는데 중요한 것은 생리가 규칙직이어야 한다는 점이다.

규칙적이기만 한다면 날짜를 보정해줄 수 있다.

가령 35 일로 생리가 규칙적이라면 28 일과 일주일 차이가 나므로

일주일을 빼주면 된다.

마지막 생리기준으로 임신 7 주인데 생리가 35 일주기라면

일주일을 빼서 임신 6 주가 되는 것이다.

 

생리가 규칙적이어야만 정확한 계산을 할 수 있다.

 

2 ~ 3 일 차이가 나는 정도의 약간의 불규칙함은 

다소의 오차가 있지만 근사치로 계산이 가능하다.

마지막 생리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실제 수정이 된 시점과는 차이가 있다.

28 일로 생리가 규칙적인 여성이라면 마지막 생리기준으로 14일째가 배란일이다.

임신이 되었다면 마지막 생리기준 14 일째 수정이 된 것이다.

 

마지막 생리 시작일과 수정된 날은 2 주 (14일) 차이가 난다.

 

즉, 임신 6 주라면 실제 수정된 날짜 기준으로는 임신 4 주가 된다.

임신기간을 40 주라고 알고 있지만 실제 수정된 날짜부터 계산하면 38 주가 된다.

하지만 수정되는 것은 눈으로 보이는 것이 아니다 보니

편의상 마지막 생리시작일 기준으로 임신주수를 계산하는 것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임신주수는 실제 임신주수에 2 주가 더해진 것이다.

 

분만 예정일은 어떻게 계산할까.

마지막 생리기준으로 40 주를 더하면 된다.

한달이 정확히 4 주 (28 일) 가 아니라 2 ~ 3 일정도 더 있다.

30 일이 있는 달과 31 일이 있는 달이 반복되기 때문에 

한달은 4 주로 계산한다면 2 달에 5 일이 남는셈이다.

10 달이면 25일이 남는다.

또 2 월은 28 일 또는 29 일 (윤달) 이라는 것도 감안해야 한다.

 

이런 것을 고려하여 마지막 생리로부터 9 개월 7 일을 더하면 분만 예정일이 된다.

 

 

 

예를 들어 마지막 생리가 1 월 14 일이었다면

분만 예정일은 10월 21일이 된다.

만약 마지막 생리가 7월 14일이었다면

분만 예정일은 16 월 21일이 된다.

즉 다음 해 4 (16-12) 월 21 일이 된다.

임신기간에 2 월이 포함되는지, 

2월이 윤달인지 여부에 따라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계산을 어렵지 않은데 완벽한 방법은 아니다.

 

임신주수와 분만 예정일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했지만 직접 계산할 필요는 없다.

포털사이트에서 임신주수 계산기로 검색하면 그만이다.

마지막 생리 시작일과 생리주기 간격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임신주수와 분만 예정일을 계산해주는 곳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1) 마지막 생리 2022 년 1월 14일과

(2) 생리주기 간격 28일을 입력하면

(3) 출산 예정일 (2022 년 10월 21일)과

(4) 현재의 주수 (2022 년 6월 27일 기준 23 주 3일)를 알려준다.

 

계산식에서 중요한 것은 

마지막 생리일을 정확하게 알아야 하고,

(생리일을 정확하게 모르는 경우도 많다)

28일 간격이 아니라도 좋지만

생리주기가 규칙적이어야 한다는 점이다.

 

생리주기 규칙적이지 않거나,

마지막 생리를 정확하게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

생리인지 부정출혈인지 애매한 경우 등에서는

병원에 가서 초음파로 측정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다.

 

약 임신 6 주가 되면 아기의 심장소리를 부인과 질초음파로 들을 수 있다.

이 시점부터 아기의 크기 측정이 가능하다.

그 전에는 아기의 크기 측정을 어렵고

아기집 크기만 측정할 수 있는데

아기집 크기로는 정확한 임신주수를 알기 어렵다.

임신 6 주경에 태아의 크기 (CRL : crown rump length)를 측정하여 나오는 임신 주수가 정확한 임신 주수이다.

초음파 기계가 자동으로 분만 예정일을 계산해 준다.

 

 

초음파 사진이다.

아기 집안에 동그란 난황란이 보이고 그 옆으로 태아가 보인다.

크기 (CRL)를 재니 0.65 cm이고 이는 임신 6 주 4일에 해당한다.

현재의 임신 주수를 알면 분만 예정일은 자동으로 계산된다.

 

임신 초기에 한번 정해진 분만 예정일은 이후 변하지 않는다.

 

 

만삭에 태어나도 

어떤 아기는 2.5 kg이고, 어떤 아기는 4.5 kg이다.

같은 주수에 태어난 아기도 몸무게가 다르다.

아기의 크는 속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하지만 임신 초기에는 크는 속도가 똑같다.

약 20 주까지는 모든 아기들이 비슷한 속도로 자란다.

20 주 이후부터는 크는 속도가 달라지는데

30 주 이후에 확 차이가 난다.

그러므로 임신 초기는 정확한 주수 측정이 가능하지만

임신 중후반기로 갈수록 정확한 주수 측정이 어렵다.

 

초음파 사진을 받아보면 현재의 임신주수와 분만 예정일이 나와 있다.

임신 초기에는 초음파에 적혀 있는 임신주수와 분만 예정일이 실제의 분만 예정일과 동일하다.

하지만 임신 중기 이후에는 초음파 사진에 적혀 있는 임신주수와 분만예정일이 실제와 다르다.

 

예를 들어보자

현재 임신 30 주이고 나의 아기가 평균보다 작다고 가정해보자.

아기가 작으므로 초음파를 봤을 때 임신 28 주로 나올 것이다.

그리고 2 주 아기가 작으므로 이를 토대로 계산한 분만 예정일은

원래 알고 있던 분만예정일보다 2 주 뒤로 밀려서 계산된다.

아기가 평균보다 크면 반대가 된다.

 

왜 초음파 볼 때마다 분만 예정일이 바뀌냐고 하는 산모들이 있는데
다시 강조하지만 임신 초기에 한번 정해진 분만 예정일은 이후 변하지 않는다.

 

임신 초기에도 초음파를 볼 때마다 하루, 이틀정도는 차이가 날 수 있다.

초음파로 측정을 하지만 사람이 하는 것이므로 오차가 있을 수 있다.

그런 정도는 무시할만한다.

 

 

[글 : 닥터 아놀드]

728x90
728x90

댓글